[스크랩] 우리말 70%가 한자말? 일제가 왜곡한 거라네 뉴스: 우리말 70%가 한자말? 일제가 왜곡한 거라네 출처: 한겨레 2009.09.11 12:04 뉴스 댓글 2009.09.11
만화로 배우는 우리말 - 알은체/아는 체 출처 : http://www.korean.go.kr/nkview/onletter/20071101/06.html 카테고리 없음 2007.12.03
남북이 모두 다듬어 써야 한다고 정한 말들 출처 : http://www.korean.go.kr/nkview/onletter/20070801/07.html 이대성(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사업회 선임연구원) 글쓴이가 몸담고 있는 ‘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사업회’는 남과 북이 힘을 합쳐 처음으로 통일 국어사전을 만들기 위해 세운 기관이다. 지금껏 우리가 보아 온 국어사전은 어찌 보면 남녘.. 좋은 글 2007.09.03
[스크랩] 휴대전화는 고급표현이고, 핸드폰은 저질표현인가... 글쓰신 분의 큰 취지에는 공감하는 바이지만, 전체내용에는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이 많다. 비록 한자어(한자라는 문자가 아니라)가 오랜 시간을 거쳐 우리말에 자리잡은 것은 사실이나, 결국 그 한자어도 외래어라는 사실은 간과한 듯 하다. 마찬가지로 영어를 중심으로 하는 서구의 외래어도 마찬가지.. 좋은 글 2007.08.17
문화재 용어 쉬운 우리말로 변경 출처 : 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052&PCode=0007&DataID=200701081632000180 문화재 용어 쉬운 우리말로 변경 영산회상도→영취산에서 설법하는 석가모니불 어려운 한자로 이루어진 문화재 용어를 한글 위주로 쉽게 고친 용어집이 발간됐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홍남)은 8일 2004년부터 2006년까지 .. 뉴스 댓글 2007.02.02
우리말을 쓰자. 출처 : http://www.korean.go.kr/nkview/onletter/20070101/07.html 이대성(겨레말큰사전 편찬사업회 선임연구원) ‘가지었다’와 ‘가졌다’ 모두 맞는 말이다. 하지만 ‘가지었다’를 쓰는 사람은 별로 없다. ‘가졌다’로 줄여서 쓰고 발음하는 것이 더 편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뜻이 달라지지 않는 한 되도록 힘을 .. 내 말이~ 2007.02.02
우리말에도 발음기호가 있을까? 우리가 흔히 접하는 영어에는 발음기호라는 것이 있다는 것은 다들 알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말에도 발음기호가 있을까? 일단 결론을 말하자면, 없다. 근거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두 가지만 생각난다. 1. 우리말은 표음문자로 글과 발음의 차이가 적다. 그리고 그 적은 차이도 규칙대로 읽혀.. 그저 주저리 2007.01.04
낚시용어 가능하면 우리말로 고쳐서 사용합시다. 출처 : http://anglerstown.com/urimal0.htm 홀림이(lure)낚시나 날벌레(fly)낚시를 즐기는 낚시꾼의 한 사람으로서 우리가 현재 영어로 된 낚시용어를 온통 그대로 사용하는 데 대해서 불만이 많습니다. 건전한 여가를 위해서 낚시를 즐기려다가 민족의 고유한 문화 유산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가치인 우리말을 파.. 좋은 글 2007.01.04
[스크랩] 일년 내내 함께 하면 좋은 사전! ‘검정새치’라는 단어가 있다. 눈치 빠른 사람은 알겠지만 모순된 말이다. 새치란 하얀 색이니 검은색이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 그렇다면 이 말은 잘못된 말일까? 뜻을 살펴보면 모순이 아니라 고도의 역설이자 은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뜻은 무엇인가? ‘같은 편인 체하면서 남의 염탐꾼 노릇을.. 쓸만한 글 2006.10.18
[스크랩] 우리말) 술에 관한 우리말 날씨가 끄물끄물하죠? 이런 날 곡차를 마시면서 거창한 인생을 이야기하면 좋은데... 시인 조지훈은, "술을 마시는 게 아니라 인정을 마시고, 술에 취하는 게 아니라 흥에 취한다"라고 했습니다. 제가 곡차통 속에서 헤엄치면서 자주 중얼거리는 말입니다. 또 누군가는 “주신(酒神)은 해신(海神)보다 .. 좋은 글 2006.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