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글

전문가도 와인 맛 구별 못 한다.

봄돌73 2007. 5. 22. 11:41
출처 : http://bloggernews.media.daum.net/news/126028?pos=1

예상하고 있던 일이라 나 자신에게는 대단하지 않지만 예상 못 했던 사람들이 좀 더 쉽게 보라고 퍼 왔다.
술뿐만 아니라 고기 종류도 자칭 전문가라는 사람이 맛을 구별 못하는 것이 당연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공전의 와인붐이다. 와인 바가 우후죽순처럼 들어서고 여기저기에 와인거리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대형 할인마트는 물론, 아파트 주변의 슈퍼마켓에도 와인 코너가 들어서고 있을 정도로 와인은 우리에게 친숙하게 다가오고 있다.

와인문화가 보급된다는 것에는 고주망태가 될 때까지 마셔대던 우리나라 주당들의 술문화를 바꾸어준다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 게다가 와인을 마시면 건강에도 좋다니 일석이조이다. 물론 적게 마실 때에 한한 이야기이다.

반면 남의 눈을 지나치게 의식하는 우리의 버릇이 와인문화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와인을 맛이 아니라 브랜드와 가격으로 선택하는 속물근성이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다는 것이다. 고급 술에 집착하는 것은 맛이 좋아서일까? 아니면 비싼 것이 좋은 것이라는 단순한 속물근성 때문일까? 이러한 의문 아래 실시되었던 술맛 테스트가 이미 1985년에 있었다.

전문가도 위스키 맛을 구별 못했다

1985년 영국의 소비자 저널인 “휘치(which)"는  전문감정사(코니서, connoisseur)들을 대상으로 술맛을 구별하는 테스트를 실시했다. 테스트는 블렌드 위스키, 몰트 위스키, 꼬냑 등의 세 부문에서 이루어졌다. 브랜드가 가려진 채로 이루어진 테스트에 참가한 감정가들의 과제는 맛에 따라 고급 브랜드에서 저급브랜드 순으로 순위를 매기는 것이었다. 결과를 보자.

블 렌드 위스키부분에서는 코옵(Co-op)이라는 생활협동조합에서 팔고 있는 싸구려 위스키가 쟁쟁한 브랜드를 누르고 1등을 차지했다. 몰트 위스키 부문에서는 체인스토어용 저가 제품인 센즈베리가 1등을 차지했고, 고급 브랜드 글렌피디히의 “킹”이 최하위를 기록했다.
꼬냑부문에서는 브랜드간의 차이가 비교적 적어 경쟁이 치열했다. 하지만 여기서도 체인스토어용 센즈베리가 선전을 해 고급 꼬냑의 대명사인 헤네시 그리고 꾸부와지에와 동점을 기록했다.


이 결과는 아마추어가 아니라 실제로 주류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감정사들에 의한 것이다. 이 결과를 본 스웨덴의 한 기자는 “위스키와 관련된 속물 근성과 비밀을 수많은 사람이 꿰뚫어버린다면 위스키업계는 도대체 어떻게 될 것인가?”라는 의미심장한 코멘트를 남기기도 했다.
이 뒤로는 맥주를 이용한 비슷한 실험이 이어졌다. 결과는 앞의 것들과 대동소이해, 결국 소비자들은 술의 맛을 구별하지 못한다는 점을 재확인시켜 주었다.


와인의 경우는 어떠할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 이제 와인이다. 와인이야 워낙 종류가 다양하고 또 사람들도 대개 맛을 구분하는 것처럼 행동하고 있으니, 다른 술의 경우와는 다르겠지라고 생각하고 있다면 이것이야말로 대단한 착각이다.

결 론부터 말하자면 일반인은 물론 전문가들조차도 맛을 전혀 구분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프랑스의 Brochet의 2001년도 박사학위 논문에서 밝혀졌다. Brochet는  3가지 방법으로 과연 사람들이 와인 맛을 구분할 수 있는가를 검증했다. 검증방법이 대단히 치밀했다.

첫째, 그때까지 발표된 10만건 이상의 와인 전문가들의 와인 평을 수집해, 컴퓨터로 내용 분석했다. 여기에는 와인계의 그린스펀이라는 로버트 파커의 평도 9천개가 포함되어 있었다. 로버트 파커는 그의 평 하나로 제품 가격이 15%가 왔다갔다한다는 소리를 듣고 있을 정도로 와인업계의 거물이다. 두 번째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와인 맛을 테스트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람들이 와인 맛을 보고있을 때의 뇌를 MRI로 스캔하였다.


전문가들은 와인 맛을 구별 못했다

전문가들의 평을 내용분석한 결과, 그들의 평가는 일관성이 전혀 없었고 대단히 자의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전문가를 대상으로한 와인 맛 테스트 결과는 충격적이기까지 했다. Brochet는 대단히 교묘한 방법으로 와인 맛 테스트를 실시했다. 훗날 일격을 맞았던 와인 전문가들이 이것은 사기라고 맹렬하게 비난을 퍼부었을 정도로 교묘했다.


그 는 와인 전문가들에게 화이트 와인과 레드와인을 내놓았다. 와인을 맛 본 전문가들은 화이트와인을 "fresh", "dry", "honeyed",  레드와인을 "deep" "intense""spicy"이라고 평가했다.  화이트와인이나 레드와인을 평가할 때 사용되는 전형적인 단어들이었다. 한마디로 말해 맛이 틀리다는 이야기였다. 하지만 사실 두 종류의 와인은 같은 화이트 와인이었다. 레드와인 처럼 보였던 것은 화이트와인을 식용색소로 물을 들여 빨갛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물론 색소는 아무 맛도 나지 않는 것이어서 맛에 영향을 줄 수는 없었다.


다 른 실험은 더욱 황당했다. 그는 중급 보르도 와인을 두 종류의 병에 담은 채로 52명의 전문가들에게 내놓았다. 하나는 최고급인 그랑크뤼(Grand Curu)급의 병이었고 또 다른 하나는 일반 수퍼마켓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싸구려 와인 병이었다. 물론 전문가들은 두 병의 내용물이 똑같다는 것을 전혀 눈치채지 못했다.


와 인을 맛본 후 전문가들은 평가를 내렸다. 그랑크뤼 병에 담긴 와인은 “agreeable", "woody", "complex", "balanced and rounded"라는 최고의 평가를, 싸구려 와인병에 들은 와인은 ”weak", "short", "light", "faulty"라는 혹평을 내렸다. 40명의 전문가들은 싸구려 와인병에 들은 와인은 마실 만한 가치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 단지 12명만이 싸구려 와인병에 들은 와인도 마실 만하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와인업계의 황제, 로버트 파커도 뻥쟁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러한 결과를 종합해 작성한 Brochet의 박사학위 논문을 매스컴이 대서특필했다(여기에 얽힌 이야기가 있지만 너무 길어져 생략한다). 런던타임즈의 파리 특파원 Adam Sage기자는 “술 마시는 사람들이 오랫동안 의심해왔던 것을 이번 프랑스의 연구자가 입증시켜주었다”라며“전문가들도 우리만큼 모른다”는 기사를 송고했고, 같은 신문의 칼럼니스트 Kate Muir는 한술 더 뜬 칼럼을 발표했다. 그녀는 로버트 파커와 유럽에서 로버트 파커 정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전문가들의 이름들을 일일이 거론하며 그들의 평가가 모두 뻥(baloney)이었다고 직격탄을 날려버린 것이다.


Brochet의 연구 이후에도 비슷한 실험이 계속되고 있다. 실험들은 Brochet의 연구결과를 지지해주고 있었다. 결국 보통사람이나 전문가나 와인 맛을 구분 못하기는 마찬가지라는 이야기가 된다.
그럼에도 우리는 와인 맛을 구별할 줄 아는 듯이 행동한다. 또 와인에 대해 일가견을 가진 듯이 말하는 사람도 쉽게 볼 수 있다.

와인에 관한 실험들을 본다면 사람이 와인 맛을 잘 구별 못하는 것은 분명한데도 사람들은 왜 이렇게 행동하는 것일까? 뻥을 치고 있는 것일까?
 그 렇지는 않다. 그것은 바로 브랜드와 뇌 때문이다. 사람은 특정한 브랜드의 와인을 마시면 그러한 맛이 들 것이라고 기대하기 마련이고, 또 그러한 기대 대로 뇌가 반응해주는 것이다. 와인의 맛은 혀가 아니라 뇌가 보고 있었던 것이다.


Brochet는 한 인터뷰에서 인구의 2~3% 정도는 정말로 맛을 분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 주위에서 와인 맛을 구별할 줄 안다는 사람들은 아마 이 2~3%에 속할지도 모를 일이다. 2~3%에 속할 자신이 없는 와인애호가들을 위해 해외의 양식있는 전문가들은 이렇게 조언하고 있다.

"당신이 마시는 와인에 관한 한 당신만이 유일한 전문가이다. 그리고 자신이 맛있다고 느끼는 와인이야말로 가장 좋은 와인이다. 누구의 말도 들을 필요가 전혀 없는 것이다"